섹션 별 뉴스

올해 '이 환자' 10명 중 6명은 지난달 발생…앞으로 더 늘어날듯

국내에서 말라리아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일 질병관리청 감염병 포털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는 모두 100명이다. 이 100명 중에서 지난달에만 66명이 발생했다.지역별로는 지난 5개월간 경기 61명, 서울 14명, 인천 10명 등 85%가 수도권에서 발생했다.국내에서 말라리아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6∼8월 여름철로, 매년 연간 전체 환자의 60%가량을 이 시기에 발생한다.747명이 발생한 지난해의 경우 6∼8월에 358명이 발생해 전체의 60%를 차지했다.여름이 시작되기 전 5개월간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는 지난해 132명(5월 80명·연간 747명), 2022년 42명(5월 30명·연간 420명), 2021년 76명(5월 45명·연간 294명), 2020년 52명(5월 22명·연간 385명), 2019년 63명(5월 38명·연간 559명), 2018년 105명(5월 59건·연간 576명) 등이다.올해의 환자 발생 추이를 보면 2018년과 비슷하다.전문가들은 말라리아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야간 시간대 외출 자제와 외출 시 긴 옷 착용, 야외 취침 때 모기장 사용 등을 권고하고 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둔촌주공 '중품아' 물거품 되나... 입주예정 학부모 반발

서울 강동구 둔촌동에 세워진 재건축 대단지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이 중학교 신설 문제로 시끄럽다. 기존에 예정된 중학교 부지가 공공 공지로 바뀐다는 소식에 입주를 앞둔 학부모들 사이에선 입주를 포기하겠단 얘기까지 나온다.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시는 단지 내 중학교가 세워질 학교 용지를 공공 공지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공공 공지는 용도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땅으로, 향후 단지 입주가 이뤄지면 나중에 용도를 정해 활용하게 된다.단지 내 중학교 신설은 2014년 조합과 교육청이 학교 용지 기부채납 협약을 맺으면서 기정사실로 여겨졌다. 분양 당시, '중품아(중학교를 품은 아파트)'를 염두에 두고 청약한 계약자도 많았다. 하지만 교육부는 학령인구가 감소해 단지 내 중학교 수요가 없다고 판단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입주 예정자들의 항의가 계속되자 시 교육청은 인근 한산중 이전 대신 도시형 캠퍼스 도입을 대안으로 내놨지만, 이조차도 교육부 중앙투자심사 결과에 맞지 않는 내용이라 실현 가능성이 작다.입주 예정자들은 교육부의 학령기 인구 추계가 잘못됐다고 반발했다. 입주예정자협의회 측은 교육부의 심사 근거가 2023년 2월 이전 계약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인데, 그 당시 집계된 학령기 인구는 1096명이었지만 최근 자체 조사한 결과 학령기 인구(2028년 개교 기준)가 3000명 이상이라고 설명했다.협의회 관계자는 "다양한 대안을 입주 예정자들이 제시했지만 반영된 것이 없다"며 "오는 11월 입주를 앞두고 갑자기 학교를 만들지 않겠다고 일방 통보하면 입주 예정자들의 재산권 침해로 여길 수밖에 없다"고 말

모바일버전 바로가기